티스토리 뷰

반응형

퇴사하면 누구나 실업급여 받는 것을 꿈꾸죠.
퇴사와 동시에 다른 곳에 이직한다면 실업급여 걱정을 하지 않지만 부득이하게 퇴직을 먼저 할 경우는 실업급여가 절실하게 필요할 것입니다. 의도치 않게 실직을 하게 된 경우에만 받을 수 있는데요.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 퇴사일을 기준으로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납부
  •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퇴사하게 된 경우

 

 

 

 

실업급여 대상

실업급여 대상

말이 참 어렵죠? 퇴사하면 누구나 실업급여를 주면 좋겠지만, 현실에서는 실업급여를 받기위한 조건이 있습니다.

"에잇 회사 더이상 못다니겠어"라고 사표를 쓰고 나오는 경우(자발적 실업)의 경우에는 받을 수 없다는 점 알아두세요.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 임금체불이 2개월 이상 발생하는 경우
  • 성희롱 성폭행 등의 괴롭힘을 당한 경우
  • 회사로부터 퇴직을 권고받는 경우
  • 회사가 이전하여 출퇴근시간이 왕복 3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 계약기간이 만료된 경우
  • 정년이 된 경우

이 외에도 많은 사유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사례는 위에서 언급한 케이스입니다.

가장 많은 경우가 아마도 권고사직, 출퇴근시간 3시간 초과, 계약기간 만료일 것입니다.

 

실업급여 비대상

아쉽게도 실업급여 대상이 아닌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
  • 본인의 잘못으로 해고되는 경우(공금횡령, 무단결근 등)
  • 고용보험에 미가입한 경우
  •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하인 경우(퇴직일로부터 18개월 이내)

이런 경우 실업급여를 못받는다고 포기하기 이릅니다.

실업급여 조건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신고하면 받을 수 있죠.

 

실업급여 받는 법

실업급여 대상자가 아니라도 너무 실망하지 마세요.

조건을 맞춰 대상자로 만든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답니다. 

실업급여를 받는 3가지 팁을 알려드릴께요.

 

1. 비자발적 실업요건을 만들자

예를들어 자발적으로 퇴사 후에 계약직으로 재직후 계약기간이 만료되서 퇴사한다면 어떨까요?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 퇴사할 때 사유가 계약기간이 만료되서 퇴사한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최소 요건인 180일동안 고용보험에 가입한 이력이 있어야겠죠?

 

2. 계약직은 내가 일했던 분야와 달라도 상관없다.

두 번째 계약직으로 일하는 경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첫 직장도 너무 힘들어서 그만두었는데 또 같은 업종에서 일하려면 힘들수도 있습니다.

실업급여 조건에는 같은 직종이라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이 말인 즉슨 계약직으로 일하는건 편의점, 카페직원, 사무보조 등 어떤 방법으로 일해도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3. 계약직은 1개월도 충분하다

계약직으로 일하는 기간이 길어야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실업급여 요건에선 제한이 없습니다.

이전 직장과 현재 직장에 고용보험 납부가 180일만 넘으면 되는 것이죠.

만약 이전 직장에서 5개월간 일하고 퇴사했다면 현재 직장에선 딱 1개월만 채워도 가능한 것이죠.

 


오늘은 실업급여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 조건이 안된다고 실망하긴 이릅니다. 해당하는 조건을 만들면 대상이 되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무작정 되는건 아니지만 이런 방법도 알아두시면 분명 도움이 되실겁니다.

반응형
댓글